MVVM
-
C# 윈폼에 아키텍처 패턴을 적용해보자! (feat. MVP, MVVM)닷넷/WinForms 2024. 2. 22. 22:26
공장에서 윈폼을 하다보면 객체지향 언어인 C#을 절차적인 언어처럼 쓰고, 막 주먹구구식으로 쓰는 경우가 태반일 것이다. 그러다 보면 유지보수가 너어무 힘들어서 윈폼 자체에 노이로제가 걸릴 수도 있다. 그러나! C#의 윈폼도 엄연히 C#의 프레임워크 중 하나인 것 뿐인데, C#은 객체지향 언어인데, 윈폼도 객체지향 적으로 짤 수는 없는 것일까? 수월한 유지보수를 위한 아키텍처 패턴과 디자인 패턴을 적용할 수 없는 것일까? 정답은 가능하다! 객체지향 적으로 짜기 위해 객체지향 설계 5원칙을 따르면 되기는 하나, 통용적인 패턴을 이용하면 보다 쉽게 짤 수가 있다. 여기서는 아키텍처 패턴을 적용 해보는 것에 대해서 설명하고자 한다. 1. 아키텍처 패턴이란? 아키텍처 패턴은 소프트웨어 설계에서 반복적으로 발생하는..
-
C# WPF에서 Binding(바인딩)이란?닷넷/WPF 2023. 4. 7. 18:17
WPF에서는 MVVM 패턴을 지키는 게 중요합니다. 개인적으로 생각하기에는 이 MVVM 패턴대로 만들지 않을 것이라면 개발 속도로 봤을 때나 유지보수 적으로 봤을 때나 그냥 윈폼(WinForms)으로 만드는게 낫습니다. 따라서 바인딩은 MVVM 패턴을 지키며 WPF에서 애플리케이션을 만들 때 중요한 요소가 됩니다. 왜냐하면 WPF에서 바인딩(Binding)은 데이터 소스와 UI 요소 간의 연결을 뜻하기 때문입니다. 즉, 뷰와 뷰모델의 연결점입니다. 바인딩을 사용하면 소스의 데이터가 변경될 때 UI가 자동으로 업데이트되고, 반대로 UI에서의 변경 사항이 소스에 전달됩니다. 이렇게 함으로써 데이터와 UI 간의 동기화가 유지되어 개발자가 수동으로 UI를 업데이트할 필요가 없습니다. WPF에서는 XAML (eX..